
국내에서 한 해 버려지는 의류 폐기물의 양은 약 11만 톤에 달합니다. 그런데 헌 옷으로 집을 짓고 가구를 만든다고요? 한때 해외로 수출되거나 소각, 매립이 일반적이었던 의류 폐기물이 이제는 새로운 건축 자재로 재탄생하고 있습니다. 또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급증한 스티로폼 폐기물도 놀랍게도 일상의 필수품으로 변신하고 있는데요. 버려진 폐자원이 새로운 가치를 지닌 제품으로 거듭나는 이 놀라운 여정을 함께 따라가 보겠습니다.
헌 옷과 폐현수막으로 건축 자재를 만들다

오늘날 우리는 쉽게 옷을 사고 쉽게 버리는 "과잉의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매년 국내에서 버려지는 의류 폐기물만 약 11만 톤. 여기에 각종 패션 브랜드에서 버려지는 원단 자투리와 선거철마다 쏟아져 나오는 폐현수막까지 더하면 그 양은 상상을 초월합니다. 하지만 이제 이 폐섬유가 건축 자재와 가구로 탈바꿈하고 있습니다.
헌 옷, 폐현수막의 새활용! 아래 섬유패널 제작회사에서 확인하세요!!!


이 과정은 생각만큼 간단하지 않습니다. 첫 단계부터 버려진 헌 옷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분류해야 합니다. 코팅된 섬유는 제외하고, 합성 섬유와 천연 섬유를 골라내는 1차 분류가 이루어집니다. 이후 여러 단계의 파쇄 과정을 거쳐 섬유를 솜처럼 미세하게 조각냅니다. 그렇게 만들어진 섬유 조각은 다시 얇은 시트 형태로 펼쳐지고, 수백 겹으로 적층 한 뒤 압축 과정을 거칩니다. 이 과정에서 화학 접착제는 일절 사용되지 않으며, 오로지 물리적인 방법만 사용됩니다.

이렇게 탄생한 섬유 패널은 내구성과 친환경성을 자랑하며 건축 자재와 가구로 활용됩니다. 그러나 이 모든 과정은 많은 수작업과 노력을 필요로 합니다. 힘든 작업을 묵묵히 이어가는 사람들의 땀과 열정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입니다. 폐섬유가 건축과 디자인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가고 있는 현장을 직접 보면, 그들의 자부심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스티로폼, 처치 곤란 애물단지에서 일상의 필수품으로

스티로폼은 현대 사회에서 편리하지만 골칫덩이로 여겨지는 자원입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택배 이용이 급증하며 연간 약 7만 5천 톤의 스티로폼 폐기물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썩지도 않고, 태우기도 어려운 이 스티로폼이 이제는 재활용 과정을 통해 놀라운 변신을 이루고 있습니다.


경기도 화성의 한 스티로폼 처리 업체는 그 중심에 있습니다. 매주 월요일 아침이면 이 공장 앞은 쓰레기차로 긴 줄이 생길 정도로 바쁩니다. 이곳에서는 하루에도 수많은 스티로폼이 들어와 작업자들에 의해 처리됩니다. 먼저, 스티커와 테이프 같은 이물질을 손으로 일일이 제거합니다. 이런 작업은 겨울에는 추위와, 여름에는 악취와 싸워야 하는 고된 일입니다.
스티로폼 재생원료를 이용한 욕실용 가구, 건축 자재를 확인하세요!


1차 공장에서 스티로폼은 용융 과정을 통해 부피가 100분의 1로 압축된 "잉곳(ingot)"으로 변합니다. 이후 2차, 3차 공장을 거치며 반복적으로 이물질 제거와 용융 과정을 거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재생 원료는 욕실용 가구, 건축 자재 등으로 활용됩니다. 스티로폼이 단순한 쓰레기에서 우리의 생활을 윤택하게 해주는 제품으로 거듭나는 순간입니다.

폐자원의 새로운 가능성
헌 옷과 스티로폼이 단순히 재활용을 넘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새활용"의 길을 걷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 그리고 환경을 지키겠다는 강한 의지가 담겨 있습니다. 우리의 일상 속에서 너무나 흔하게 버려지는 자원들이 다시 삶의 일부로 돌아오는 여정을 보며, 자원의 소중함과 새활용의 가능성을 다시금 생각하게 됩니다.
극한직업 집의 재발견~ 70년 낡은 집을 수익형 주택으로 변신과 맞춤형 농가 주택
극한직업 집의 재발견~ 70년 낡은 집을 수익형 주택으로 변신과 맞춤형 농가 주택
오래된 집에 담긴 시간의 흔적과 그 속에서 느껴지는 정취를 간직하면서도 현대적인 편리함을 더해 새로운 삶의 공간으로 재탄생시키는 이들이 있습니다. 낡은 집을 대대적으로 개조해 수익형
cji99.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