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한국인의 밥상~ 겨울의 끝자락 바다의 참맛을 만나다, 동해안의 겨울 진객 도치, 참치 부럽지 않은 나로도의 겨울 삼치, 겨울 바닷속에서 자란 홍가리비

재빠른 달팽이 2025. 2. 27. 18:52
반응형

겨울바다-한국인의밥상
겨울 바다 - 한국인의 밥상

바닷바람이 매서워질수록 바다는 더욱 깊은 맛을 품는다.

차가운 물속에서 살아가는 생물들은 혹독한 계절을 견디기 위해 지방을 저장하고 살을 단단하게 만든다. 덕분에 겨울이 되면 유난히 맛이 좋은 해산물이 풍성하게 올라온다.

겨울바다-조업-한국인의밥상
겨울 바다 조업에 나선 어부 - 한국인의 밥상

겨울 바다는 때로 거칠고 험하지만, 그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바다를 삶의 터전으로 삼고 자연과 함께 살아간다.

혹독한 바다를 이겨낸 사람들의 손끝에서 탄생하는 겨울 밥상은 단순한 한 끼 식사가 아니다.

오랜 세월을 거쳐 다듬어진 지혜, 바다에 대한 존경, 그리고 함께 살아가는 이웃과의 따뜻한 정이 담겨 있다.

이번 겨울, 바다가 선물하는 특별한 맛을 찾아 떠나보자.

 

 

 

 

동해안의 겨울 진객, 도치 – 강원 양양 낙산항

도치-한국인의밥상
도치-한국인의밥상

강원도 양양 낙산항에서 30년 넘게 고기잡이를 해온 김대곤(73세) 선장은 며칠간 이어진 풍랑주의보가 해제되자 서둘러 조업 준비에 나선다.

그물에 걸려 있을 도치를 기대하며 바다로 나아간다.

 

양양 낙산항의 도치 맛집을 확인하세요!!!

도치 맛집

 

 

도치조업-한국인의밥상
도치 조업중인 어부 - 한국인의 밥상

도치는 한겨울이 제철인 생선으로, 심해에 살다가 산란기가 되면 연안으로 나온다.

독특한 생김새 때문에 ‘심퉁이’라는 별명도 있지만, 지금은 명태를 대신할 동해안의 겨울 별미로 자리 잡았다.

도치손질-한국인의밥상
도치 손질하는 송연옥 씨 - 한국인의 밥상

조업을 마치고 항구로 돌아오자, 그의 아내 송연옥(65세) 씨와 마을 어르신들이 도치 요리를 준비한다.

이웃과 함께 맛을 나누는 것은 겨울철 낙산항의 오랜 전통이다.

도치알-한국인의밥상도치알-한국인의밥상
도치 알 - 한국인의 밥상

도치 수놈은 숙회로 만들어 쫄깃하고 담백한 맛을 살리고, 도치 알은 소금물에 씻어 굳혀 귀한 별미로 즐긴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낙산항 사람들은 거친 겨울 바다로 나가 목숨을 걸고 고기를 잡았고, 잡은 도치는 여자들이 머리에 이고 마을을 돌며 팔았다.

도치-한상차림-한국인의밥상
도치 한상차림 - 한국인의 밥상

그렇게 얻은 수입으로 보리쌀과 감자를 사며 생계를 이어갔다.

지금은 도치가 귀한 별미가 되었지만, 항구 사람들에게 도치는 단순한 생선이 아니다. 그들의 삶이 담긴 소중한 겨울의 맛이다.

 

참치 부럽지 않은 겨울 삼치 – 전남 고흥 나로도항

겨울삼치-한국인의밥상
겨울삼치-한국인의밥상

남해안 끝자락, 고흥반도에서 6km 떨어진 나로도항은 일제강점기부터 삼치잡이로 유명한 곳이다.

한때는 삼치 덕분에 ‘개도 만 원짜리를 물고 다닌다’는 우스갯소리가 나올 만큼 풍요로웠지만, 조업 기술이 발달하며 점차 쇠퇴했다. 하지만 여전히 나로도 사람들은 삼치를 최고의 명물로 자랑한다.

 

나로도항의 싱싱한 삼치회를 확인하세요!!!

싱싱한 삼치회

 

 

겨울삼치-한국인의밥상
겨울삼치-한국인의밥상

나로도에서 삼치는 크기가 커야 대접받는다. 적어도 2kg 이상 되어야 제대로 된 삼치라 여긴다.

겨울철 삼치는 바다 깊숙이 들어가기 때문에 ‘땅바리’라 불리는 전통 낚시법으로 잡는다. 낚싯바늘을 바다 밑까지 내려 끌어당기며 삼치를 유인하는 방식이다.

겨울삼치-한국인의밥상
겨울삼치-한국인의밥상

풍랑주의보가 내려지자, ‘땅바리’ 낚시꾼 김원태(59세) 선장은 마을 회관에서 이웃들과 삼치 밥상을 차린다. 삼치는 성질이 급해 물 밖으로 나오면 바로 죽기 때문에 얼음에 재웠다가 선어로 회를 뜬다. 살이 무른 삼치는 두툼하게 썰어야 제맛을 느낄 수 있다.

겨울삼치회-한국인의밥상
겨울삼치회-한국인의밥상

삼치회를 즐긴 후에는 본격적인 익힌 요리를 시작한다. 삼치살에 굵은소금을 뿌려 숯불에 구우면 지방이 녹아내리며 고소한 향이 퍼진다.

겨울삼치-한상차림-한국인의밥상
겨울삼치로 차려낸 한상차림 - 한국인의 밥상

삼치 뼈는 버리지 않고 국물을 내어 수제비를 넣어 삼치 어탕을 끓인다. 예전에는 삼치가 흔해서 뼈를 그냥 버렸지만, 지금은 귀한 식재료가 되었다. 그래도 삼치 덕분에 한평생 잘 살아왔으니, 나로도 사람들은 감사할 뿐이다.

 

겨울 바다에서 자란 홍가리비 – 전남 고흥 강동마을

홍가리비-한국인의밥상
홍가리비-한국인의밥상

홍가리비는 6월에 종패를 바다에 넣어 6개월간 키운 뒤, 겨울이 되면 수확하는 별미다. 찬 바닷속에서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체지방을 늘리고 알을 가득 채운 홍가리비는 겨울철 가장 맛있는 조개로 손꼽힌다.

 

겨울철 가장 맛있는 조개, 홍가리비를 확인하세요!!!

홍가리비

 

 

홍가리비양식장-한국인의밥상
홍가리비 양식장 - 한국인의 밥상

고흥 강동마을에서 10년째 홍가리비를 양식하는 손성주(60세) 씨와 아내 강난희(57세) 씨는 겨울이면 누구보다 바쁘다.

2만 개가 넘는 홍가리비를 손수 관리하며 키워내기 때문이다. 홍가리비는 성장할 때마다 크기에 맞는 채롱(가리비 양식장)으로 옮겨줘야 하는데, 이 과정이 무척 고되다.

하지만 겨울에 풍성한 수확을 거두는 순간, 모든 노고가 보람으로 바뀐다.

홍가리비양식장-한국인의밥상
홍가리비 양식장 - 한국인의 밥상

수확한 홍가리비를 정리한 후, 강난희 씨는 일꾼들과 함께 새참을 준비한다.

겨울 바다를 함께 견뎌온 이들이기에, 한 끼 식사도 특별하다. 홍가리비는 날것으로도 즐기지만, 찜으로 먹으면 더욱 깊은 감칠맛이 난다.

홍가리비-한국인의밥상홍가리비-미역국-한국인의밥상
홍가리비와 홍가리비 미역국 - 한국인의 밥상

마을 어르신들과 함께 끓이는 가리비 미역국도 별미다.

과거에는 없던 음식이지만, 홍가리비 양식이 시작된 후 새롭게 탄생했다. 강동마을 앞바다는 미역, 김, 톳 같은 해조류가 풍부하다.

홍가리비-한상차림-한국인의밥상
홍가리비 한상차림 - 한국인의 밥상

어르신들은 갯바위에서 직접 뜯어온 톳으로 따뜻한 톳밥을 지어 함께 나눈다.

 

겨울 바다는 언제나 거칠지만, 그 안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서로를 보듬으며 따뜻한 밥상을 차린다.

혹독한 계절이지만, 바다 덕분에 풍요로운 겨울을 보낼 수 있다. 이들이 차려낸 겨울 바다 밥상에는 바다에 대한 감사와 삶의 지혜, 그리고 함께하는 이웃에 대한 애정이 담겨 있다.

올겨울, 바다가 차려낸 특별한 밥상을 만나러 떠나보자.

 한국인의 밥상 – “애타도록 맛있다!” 생선 애의 오묘한 세계, 60년 전통의 한정식집 홍어애탕

 

한국인의 밥상 – “애타도록 맛있다!” 생선 애의 오묘한 세계, 60년 전통의 한정식집 대표메뉴

찬 바람이 불어오는 겨울, 바다는 더욱 깊고 풍성한 맛을 품고 있습니다.이번 한국인의 밥상에서는 한번 맛보면 잊을 수 없는 특별한 식재료, 생선 ‘애’를 집중 조명합니다. 한국인의 입맛을

cji99.tistory.com

 

한국인의 밥상 – “애타도록 맛있다!” 생선 애의 오묘한 세계, 부산 남구 애연동 달고기 애탕, 물회, 달고기 어전\

 

한국인의 밥상 – “애타도록 맛있다!” 생선 애의 오묘한 세계, 부산 남구 애연동 달고기 애탕,

입안 가득 퍼지는 진귀한 맛의 향연! 겨울 바다에서 찾은 숨은 보물, 생선 애(肝)의 깊은 맛찬 바람이 옷깃을 여미게 만드는 계절, 겨울 바다는 더욱 풍성한 맛의 보물창고가 됩니다.겨울이 제철

cji99.tistory.com

 

반응형